1. TCP/IP

계층 OSI 7계층 TCP/IP 모델
7계층 응용(Application)
6계층 표현(Presentation)
5계층 세션(Session)
4계층 전송(Transport) 응용(Application) - 응용+표현+세션
3계층 네트워크(Network) 전송(Transport) - 전송
2계층 데이터링크(Data Link) 인터넷(Internet) - 네트워크
1계층 물리(Phyiscal) 네트워크 액세스(Network Access) - 데이터링크+물리

TCP/IP 모델은 OSI 7계층과 다르게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4단계로 구분한다. TCP/IP 모델의 4계층 중에서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인 TCP와 UDP는 각각 다른 특징과 용도를 지닌다.

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

특징

➜ 연결형 방식으로, 데이터 손실이 적고 신뢰성이 높고 제어를 잘하는 대신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.

TCP Handshake

TCP는 전송 전 연결 설정을 하는데 이 방식을 Handshake라고 한다. 연결을 성립하기 위해서 3개의 TCP 패킷을 교환하는 3-way handshake를, 연결 종료를 위해서는 4개의 TCP 패킷을 교환하는 4-way handshake 방식을 채택한다. FIN 전송이 바로 연결을 끊는 단계다.

UDP(User Datagram Protocol)